“왜 그렇게 열심이야?” 에 대한 대답

2017. 11. 15. 08:48독립시선일기

#3. 열심히 사는 게 낯설어요

​​왜 그렇게 열심히 사냐고 물으신다면
난 어릴 때부터 최선을 다하는 내 모습이 싫었다. 정확히 말하면, 뭔가 최선을 다해본 적도 없었고 노력없이 우수한 성적을 내왔기 때문에 노력하는 걸 우습게 봤던 것 같다. (하지만 운이 좋지도 노력을 안해도될만큼 머리가 좋지도 않아서 금세 바닥났다.)

초딩 때 학원에서 반 배정 시험을 봤었다. 정말 열심히 하는 애가 있었는네 나보다 낮은 반에 가서 걜 비웃었던 경험이 있다. 아마 지금쯤 나보다 훨씬 잘살고 있겠지

여튼 그래서 뭔가 최선을 다해서 한 기억이 없다. 뭔가를 만드는 것도 늘 시켜서 했지 자발적으로 한적은 없었고.
(오죽하면 얼마전 올림픽 환영단에 갔을 때 머리띠를 직접 만들어가자 고딩때 친구가

“너 손재주 없잖어 무슨일이야”

했었으니까


​무슨 일은 정말로 있었다
최근에 무언가에 몰두해 시간을 보내는 일이 많아졌다. 내가 하고 싶었던 독서몰두나 배움에 대한 몰두가 아니라 현타가 한바가지씩 쏟아졌었지만, 드라마하나 진득하게 보지못했던 내가 비밀의숲-품위있는그녀-김전일을 탐독하고 슬라임에 열중하는 걸 보면 변화가 있긴 있었던 것 같다. 무엇이 나를 바뀌게했는지는 모르겠지만, 나 스스로에 대한 자아와 취향이 잡힌 상태에서 개인의 시간이 많아져서 그런 것 같다. 그래서 집을 꾸밀 때도 다양한 생각과 아이디어로 채워나갔다.

얼마전 대리님과 얘기하다가 청소년기의 뇌세포활동에 대한 주제가 나왔다. 그때 뇌에서 호르몬과 등등이 폭발해 감정이 복잡하고 그와 더불어 창작능력까지 가장 좋을 때라고 했다. 난 그 시기를 취향없이 보냈다. 자수를 하고 싶었는데 공부만 하라고했고 만화책은 숨어서 읽다가, 그마저도 그만뒀다. 덕후같은 건 멋지지 않은 거라고 생각해서

예쁜 것들도 안 봤다. 관심이 없는 줄만 알았다.


참 정성이다 너도. 뭘 그렇게까지하니를 듣고 자라면
퍽하면 부모탓 하는 것도 싫지만, 우리 부모님은 매번 그랬다. 내가 살을 빼겠다고 비디오를 볼 때도, 한번 먹는 밥 맛있고 예쁘게 먹고싶어서 꾸며올릴 때도, 더 옛날로 가 이지훈을 좋아했던 나를 맨날 놀릴 때에도. 그게 부끄러워할 게 아닌데 난 늘 부끄러웠다. 열성을 다해 좋아하고 그에 대한 행동을 하면 늘 놀리거나 빈정댔으므로, 나는 그것이 왠지 잘못된 것인줄 알았고 부끄럽게 느껴졌다. 자라고보니 우리 부모님은 A를 표현하면 B의 마음을 가지고 있었을 때가 많았다. 예를 들면

새로 이사갈 집의 벽지를 뜯어냈을 때



​​“직업을 바꿔라 바꿔! 도배업자 해 그냥”

했던 말이 ‘딸내미가 다 커서 이런 것도 하네. 근데 좀만 살건데 왜 그렇게까지 하냐’의 표현일줄 스물일곱이 되어서야 살짝 알게 됐던 것 같다. 그리고 나는 저러지 말아야지. 그렇게 표현하지 말아야지 생각했다.
“당신이 고생해서 마음이 아프다, “
라고 말을 해야지, 혼내고 호통치기보다는 고생을 덜 했으면 좋겠으니 대충하라고 말하는 사람이 되어야지 생각했다.

하지만 슬프게도 나는 그런 부모님의 딸인 것 같다.




엄마가 밥사주러 왔던 날 마신 카푸치노.
별안간 카페에 가서 앉아있다 가자기에
그날은 기분이 좋아 재잘재잘했던 기억


여튼 재건축 사업 고시안내장이 집으로 날아들면서, 새삼 열심히 하는 것에 대한 현타가 밀려왔다.